우리가 쉽게 결정을 하지 못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서울 풍경 블로그입니다.
우리는 큰 일이든 작은 일이든
일에 대한 결정이나 선택을 쉽게 하기 어려운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우리가 결정을 내릴 때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심리적, 환경적, 신경과학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이를 이해하면 효과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예방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1. 우리가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주요 원인
1) 정보 과부하 (Information Overload)
- 너무 많은 선택지가 주어지면 오히려 결정을 내리기가 어려워집니다.
- 인간의 인지 용량에는 한계가 있고, 과도한 정보가 들어오면 결정 마비(decision paralysis)가 발생합니다.
2) 손실 회피 편향 (Loss Aversion Bias)
- 우리는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을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 결정으로 나중에 후회할지도 몰라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3) 완벽주의 (Perfectionism)
- 최고의 선택을 하려다 보니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현실적으로 완벽한 선택이란 존재하지 않지만, , "더 좋은 옵션이 있을지도 몰라"라는 생각에 빠져듭니다.
4) 미래 예측의 어려움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 우리는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에 '어떤 결정이 최선일까?'라는 고민에 빠집니다.
- 중요한 결정일수록 '이 선택이 나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까?'라는 불확실성이 커집니다.
5) 책임 회피 (Fear of Responsibility)
- 중요한 결정을 내린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책임을 두려워합니다.
- 이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결정을 미루거나, 아예 결정을 내리지 않으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6) 기본 상태 편향 (Status Quo Bias)
- 새로운 결정보다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편하게 느껴집니다.
-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불확실성 때문에 결정을 내리는 대신 현 상태를 지속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7) 감정적 요인 (Emotional Influence)
- 피로, 스트레스, 불안 등이 높을수록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집니다.
- 감정이 지나치게 개입하면 논리적인 판단을 하기 힘들어지고, 결정을 미루게 됩니다.
2. 쉽게 결정을 내리기 위한 예방책
1) 선택지 줄이기
- 정보가 많을수록 선택이 어려우니, 가능한 한 선택지를 줄이도록 합니다.
- 완벽한 선택보다는 '충분히 좋은 선택'을 고르도록 합니다.
2) 80% 법칙 적용 (Satisficing vs. Maximizing)
- Maximizing(최적화): 완벽한 결정을 하려는 태도
- Satisficing(충분주의): ‘충분히 좋은’ 결정을 내리는 태도
- 이 결정이 80% 이상 만족스러우면 진행한다 라는 원칙을 정하면 결정을 내리는 데 시간이 줄어듭니다.
3) 미리 마감 기한 정하기
- 이 결정을 언제까지 내릴 것인가?를 정해두면 무한정 고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결정은 24시간, 덜 중요한 것은 10분 내로 결정하기.
4) 손실 회피 극복. 최악의 경우를 상상하라.
- 사람들은 손실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결정을 미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 결정을 내렸을 때 최악의 시나리오는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그것이 감당할 만한 수준인지 분석합니다.
- 대부분의 경우, 최악의 결과는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습니다.
5) 5년 후의 나에게 질문하기
- 현재의 감정이나 두려움에 휩싸이지 않도록, '이 결정을 내렸을 때 5년 후의 나는 어떻게 생각할까?'라고 자문해 본다.
-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현재의 고민이 덜 중요해 보일 수 있습니다.
6) 작은 결정부터 연습하기
- 큰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이유는 결정하는 습관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매일 사소한 결정을 빠르게 내리는 연습을 해보세요.
(오늘 점심 메뉴 10초 안에 고르기, 옷 30초 안에 선택하기, 이메일 답장 5분 안에 보내기 등).
- 작은 결정을 빠르게 내리는 습관이 쌓이면, 중요한 결정도 수월해집니다.
7) 객관적인 기준 설정
- 감정에 좌우되지 않도록 결정할 때 기준을 명확히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직장을 선택할 때 "연봉, 근무 환경, 성장 가능성" 같은 기준을 정해 점수를 매겨 보면 주관적인 감정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8) 결정 후에는 후회하지 않기
- 결정을 내린 후에는 '이게 맞는 선택이었을까?'라고 반복적으로 고민하지 말아야 합니다.
- 한 번 결정했으면 '이제 최선을 다하자'라고 생각하며 실행에 집중합니다.
결론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정보 과부하, 손실 회피, 완벽주의, 책임 회피 등의 심리적 요인 때문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지를 줄이고, 충분히 좋은 선택을 목표로 하며, 마감 기한을 설정하고, 작은 결정부터 연습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완벽한 결정'보다는 '실행 가능한 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책 읽기 방법에 관심이 있으시면,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
안녕하세요.김박사 북로그입니다. 오늘은 갑자기 우리가 평생 살면서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여러 가지 이유가 생각이 났지만요약하면, 단순 지식 습득을 넘어 삶의 질을 높
kimsbook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