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서울소사이어티 블로그입니다.
개인적으로 범죄학 이론에 관심이 있어서
여기에 범죄학에 관련된 글을 써 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첫 번째 글로 범죄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
범죄학(Criminology)은 정의하자면,
‘범죄 현상’과 ‘범죄에 대한 사회의 반응’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범죄 발생의 원인부터 범죄 행위의 동기, 범죄자를 처벌하고 교정하는 법과 제도, 피해자의 보호와 회복, 그리고 범죄 예방과 형사정책에 이르는 모든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세분화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범죄학은
1) '학제 간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학, 심리학, 법학, 정치학, 행정학 등 다양한 학문과 결합하여 범죄 문제를 종합적으로 탐구합니다.
예를 들면, 사회학의 경우 빈곤·실업·차별과 같은 사회 구조적 요소가 범죄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 심리학의 경우 범죄자의 성격 유형, 정신적 상태 등을 분석합니다.
2) 범죄 원인 분석
범죄가 발생하는 요인은 개인적 (성격·가정환경 등) 이유부터 사회적 (지역사회 문화·경제 수준·교육 기회 등) 이유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범죄학에서는 범죄 등 사회 통계 자료 분석, 범죄 및 예방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범죄율과 연관된 요인을 찾아냄으로써 예방책을 마련하는 데 기여합니다.
3) 형사정책 연구
경찰, 검찰, 법원, 교정(교도소) 기관 등 형사사법 시스템 전반을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범죄자를 어떤 방식으로 처벌·교정·재사회화할지, 사회적으로는 어떠한 정책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하고 개선안을 제시합니다.
4) 피해자학을 포함합니다
지금까지는 범죄자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현대 범죄학에서는 피해자의 인권, 보호 방안, 2차 피해 예방 등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5) 범죄 예방 연구 및 실행
범죄를 사후에 처벌하는 것뿐 아니라, 범죄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예방 전략과 환경 설계(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등에 대해서도 연구합니다.
범죄학은 따라서,
'범죄가 왜 발생하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으며, 사회가 범죄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가 축적되어 범죄 요인 파악, 범죄 예방, 형사정책 수립, 피해자 보호 등의 영역에서 실질적인 개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학은 우리 사회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리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식 맛집 리뷰 잘 쓰는 방법은? (8) | 2025.02.26 |
---|---|
범죄학 세부 이론 소개 (3) | 2025.02.22 |
미국의 외국산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예정 (4) | 2025.02.15 |
2025년도 IT 트렌드 전망 (2) | 2025.02.08 |
2024년 IT관련 블로그 내용 추세 분석 (2)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