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심리

마음 비우기

by 서울 풍경 2023. 1. 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울풍경 블로그 입니다.

오늘은 마음 비우기의 어려움에 대하여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우리의 뇌는 특정한 정보를 인지하게 되면,

애써 그 정보를 무시하려 해도

더욱 그 정보가 활성화하여 의식하게 된다고 합니다. 

 

누군가 특정 행동을 하지 말라고 강요하면,

은연중에 그 행동을 더 하고 싶어 하는 것이 인간의 마음입니다.

 

미국 브라운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케리 에드워드 박사는 

이런 인간 심리의 원인을 연구했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을 모집하고, 두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그룹에게는, 실험용으로 쓴 가짜 판결문을 읽어주었습니다.

판결문 문구 중에 '그 강도는 여성을 칼로 난도질했다'라는 구절이 있었습니다.

 

다분히 분노의 감정을 일으키는 내용이지만,

에드워드 박사는 이 구절에 크게 신경을 쓰지 말라고 '특별히 요청'했습니다

 

두 번째 그룹에게는 아무런 요청 사항 없이 재판 기록을 평범하게 읽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두 그룹 모두에게 범행을 한 강도에 대한 합당한 판결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결과는 감정적인 부분을 애써 무시하라는 요청을 받은 첫 번째 그룹의 평균 판결 형량이

아무런 요청을 받지 않은 그룹보다 평균  두 배이상의 엄중한 판결을 선고했다고 합니다.

 

그 부분을 무시하라는 요청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첫 번째 그룹은 그 부분이 더욱 뇌리에

박혀서 심리적으로 영향을 받아 엄중한 판결을 한 것입니다.

 

어떤 상황을 판단할 때, 공정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 잡히면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여 공정성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마음을 비우고 판단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 것 같고 오히려 불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인간의 마음은 갈대와 같이 이리저리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