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심리

다수의 의견에 따르게 되는 이유

by 서울 풍경 2021. 11. 18.
728x90
반응형

여러분 안녕하세요.

서울풍경 블로그입니다.

우리는 중요한 일을 결정할 때 무의식적으로 다수의 의견에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은 자존심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지않고 내가 스스로 어떤 일에 대한 결정이나 선택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우리는 대부분 다수의 의견에 동조하며, 유행을 따르는 등 대다수의 의견에 따른다고 합니다.

 

짧은 시간 존재하더라도 강한 인상을 남기는 편이 좋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사람들은 다수의 사람이 같은 생각을 하고 있으면 내 생각은 다르더라도 그들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하게 된다고 합니다.

 

둘째, 이는 나의 의견이 대다수가 가진 의견과 다르더라도 부정적 반응을 피하려고 대다수의 의견 결국 동조하게 된다고 합니다.

 

셋째, 사람들은 또한 자신의 우상을 기준으로 따라하는 것처럼 다수 사람들의 의견, 행동이나 복장에 동조하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이 전문가이거나 인격적으로 믿을 만한 사람이면 그런 이유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바꾸고 그들의 생각에 동조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면, 동조에 더욱 취약한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권위주의적인 사람들은 관습, 규칙, 권력, 권위를 우선시 하기 때문에 더욱 대다수의 의견에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 자신감이 없는 사람들 역시 대다수의 의견에 쉽게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다수의 규모도 쉽게 동조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고 합니다. , 집단의 규모가 크면 쉽게 동조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집단이라도 그 집단의 일부가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 동조하게 되는 비율은 떨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이는 소수의 집단 구성원이 올바른 판단을 하더라도 침묵하면 그 집단은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는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결론은 우리는 집단 속에서 개인의 다른 의견을 제시하기 보다는 집단의 의견에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집단의 건강한 판단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프랑스의 심리학자 세르주 시코티의 글을 요약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인간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가 두려울 때  (0) 2021.11.20
동기 부여가 필요할 때  (0) 2021.11.19
화난 감정을 다스리는 사람들  (2) 2021.11.18
예술가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바꾸는 방법  (0) 2021.11.17
좋은 기억 나쁜 기억  (1) 202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