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심리

희망의 효과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by 서울 풍경 2021. 10. 2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울풍경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코로나 시대에 희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희망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한 걸음만 더 가면 있습니다.

 

지난 2년간은 코로나의 여파로 사회적, 개인적인 모든 활동이 위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면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듯 합니다.

 

이제 코로나의 어두운 터널을 지나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극복이라는 새로운 희망을 맞으면서, ‘희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봅니다

 

미국 심리학 학회(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희망을 "긍정적인 경험을 하거나 잠재적으로 위협적이거나 부정적인 상황이 일어나지 않거나 궁극적으로 유리한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는 기대"라고 정의합니다.

 

희망은 낙관주의, 즉 좋은 일이 일어나고 자신의 소망이나 목표가 궁극적으로 성취될 것이라는 태도나 전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희망은 목표를 설정하고 궁극적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 요소입니다.

 

사회적, 정신적, 육체적 웰빙에 대한 희망의 긍정적 영향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10년의 한 연구에서 희망을 일종의 "심리적 자본"으로 보고 희망이 높은 사람들이 운동, 학업, 직업 및 건강 분야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희망을 가진 사람들이 단순히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성취도가 훨씬 더 높고 건강이 더 좋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에 대한 설명은 희망이 있는 개인은 미래 지향적이기 때문인데, 이는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추구하여, 개인의 경력과 건강에 더욱 신경 쓸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희망이 있는 개인은 이미 직업적, 재정적, 신체적 건강에 대해 사전 예방적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성공하고 더 건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개인이 심각한 질병에 걸렸을 때 희망이 특히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2008년의 연구에서 희망을 가진 환자가 질병에 대한 치료 과정에 더욱 긍정적인 태도로 임했다고 합니다. 이는 희망이 빠른 건강 회복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희망의 효과를 다시 한 번 인식하여,

이 어려운 시기를 더욱 잘 극복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당장 희망의 효과를 눈으로 볼 수 없다고 좌절하지 말고, 마음 속으로 기다리다 보면, 그 효과를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